1) format을 이용한 날짜 출력하기

NOTICE 테이블의 regdate 컬럼을 보면 년/월/일 시:분:초로 이루어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위의 사진을 보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형식과 다르게
작성일이 년-월-일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JSTL의 format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forma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taglib가 필요하다.
<%@taglib prefix="fmt" uri="http://java.sun.com/jsp/jstl/fmt" %>
그러고나서 리스트(list.jsp)의 작성일 부분을 format을 사용하여 년-월-일 형식으로 지정해준다.
<td>
<fmt:formatDate pattern="yyyy-MM-dd" value="${ n.regDate }"/>
</td>
디테일(detali.jsp)의 작성일 부분은 날짜뿐만 아니라 시간까지 나오는 것이 더 좋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format을 년-월-일 시:분:초 형식으로 지정해주면 된다.
<tr>
<th>작성일</th>
<td class="text-align-left text-indent" colspan="3">
<fmt:formatDate pattern="yyyy-MM-dd hh:mm:ss" value="${ n.regDate }"/>
</td>
</tr>

2) format을 이용한 숫자 출력 형식 지정하기

조회수가 적으면 알아보기 쉽지만 첫 번째 조회수처럼 조회수가 많아지면 한 눈에 알아보기 힘들 수도 있다.
이때도 사용할 수 있는게 format이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알아보기 쉽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d>
<fmt:formatNumber value="${n.hit}"/>
</td>

<fmt:formatNumber type="number" pattern="##,####" value="${n.hit}"/>
pattern을 사용해서 위와 같이 지정해준다면 4자리씩 끊어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 정리하기 > JSP와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형으로 만든다는 것은? (0) | 2023.08.02 |
---|---|
JSTL의 function 이용하기 (0) | 2023.07.31 |
JSTL의 forTokens를 이용한 첨부파일 목록 출력하기 (0) | 2023.07.27 |
JSTL을 이용해서 Pager 번호 만들기 (0) | 2023.07.24 |
JSTL(JSP Standard Tag Library)과 중간 정리 (0) | 2023.07.22 |
1) format을 이용한 날짜 출력하기

NOTICE 테이블의 regdate 컬럼을 보면 년/월/일 시:분:초로 이루어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위의 사진을 보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형식과 다르게
작성일이 년-월-일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JSTL의 format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forma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taglib가 필요하다.
<%@taglib prefix="fmt" uri="http://java.sun.com/jsp/jstl/fmt" %>
그러고나서 리스트(list.jsp)의 작성일 부분을 format을 사용하여 년-월-일 형식으로 지정해준다.
<td>
<fmt:formatDate pattern="yyyy-MM-dd" value="${ n.regDate }"/>
</td>
디테일(detali.jsp)의 작성일 부분은 날짜뿐만 아니라 시간까지 나오는 것이 더 좋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format을 년-월-일 시:분:초 형식으로 지정해주면 된다.
<tr>
<th>작성일</th>
<td class="text-align-left text-indent" colspan="3">
<fmt:formatDate pattern="yyyy-MM-dd hh:mm:ss" value="${ n.regDate }"/>
</td>
</tr>

2) format을 이용한 숫자 출력 형식 지정하기

조회수가 적으면 알아보기 쉽지만 첫 번째 조회수처럼 조회수가 많아지면 한 눈에 알아보기 힘들 수도 있다.
이때도 사용할 수 있는게 format이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알아보기 쉽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d>
<fmt:formatNumber value="${n.hit}"/>
</td>

<fmt:formatNumber type="number" pattern="##,####" value="${n.hit}"/>
pattern을 사용해서 위와 같이 지정해준다면 4자리씩 끊어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 정리하기 > JSP와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형으로 만든다는 것은? (0) | 2023.08.02 |
---|---|
JSTL의 function 이용하기 (0) | 2023.07.31 |
JSTL의 forTokens를 이용한 첨부파일 목록 출력하기 (0) | 2023.07.27 |
JSTL을 이용해서 Pager 번호 만들기 (0) | 2023.07.24 |
JSTL(JSP Standard Tag Library)과 중간 정리 (0) | 202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