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지원/JSP와 Servlet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EL과 JSTL

EL(Expression Language) 기존에 사용하던 자바 코드 블럭인 를 ${ } 형식으로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기존에는 getAttribute를 사용해서 값을 꺼내고 태그를 사용해서 값을 출력했었다. ${num} 위의 코드와 같이 EL을 사용하면 값을 꺼내서 출력까지 한 번에 가능하다.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자신만의 태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JSTL 메이븐 리포지토리가 필요하므로 아래의 사이트에서 jar 파일을 다운받아야 한다.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javax.servlet/jstl/1.2 그러고나서 JSP 파일 상단에 아래의 코드를 작성해주면 해당 uri를 대신해서..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점 그리고 PRG 패턴

Forward와 Redirect Redirect와 forward는 JSP 환경에서 현재 작업 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페이지 전환 기능을 말한다.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점 클라이언트 → 고객 URL → URL 서버 → 상담원 forward() : 요청 정보가 그대로 유지 예시 2) 고객이 고객센터로 상담원에게 123번으로 전화를 건다. 상담원은 해당 문의사항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옆의 다른 상담원에게 해당 문의사항에 대한 답을 얻는다. 상담원은 고객의 문의사항을 처리해준다. 웹 컨테이너 차원에서의 페이지 이동이기 때문에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는지 알 수 없다. (고객은 상담원이 누구한테 물어봤는지 알 수 없다.) 웹 브라우저에서는 최초 호출한 URL만 표..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Request와 Response, GET 방식과 POST 방식

Request와 Response Request(요청) :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Response(응답) :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서 브라우저로 보내게되는 것을 말한다. 웹 브라우저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GET, POST 2가지 방식을 이용한다. GET 방식, POST 방식 GET 방식 : 주소창에 직접 원하는 데이터를 적거나 링크를 클릭해서 호출 원하는 웹의 주소를 호출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와 &,=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특정한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 사용한다.(ex. SNS) 웹에서 주소창 뒤에 ?로 시작하는 내용물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물어보..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JSP와 Servlet은 무엇일까?

JSP : 뷰 역할 HTML 코드를 그대로 이용하고 필요할 때 약간의 자바 코드를 넣는 방식을 말한다. JSP 코드는 자바 코드가 아닌데 Servlet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왜냐하면 JSP 파일이 Servlet 코드로 변환되어서 컴파일되고 실행되기 때문이다. Servlet : 컨트롤러 역할 자바 코드를 이용해서 HTML 문자열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말한다. 웹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이다.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 out.println(""); out.println("Servlet"); out.println(""); out.println(""); JSP는 입력 화면을 구성하거나 처리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