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와 Response
Request(요청) :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Response(응답) :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서 브라우저로 보내게되는 것을 말한다.
웹 브라우저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GET, POST 2가지 방식을 이용한다.
GET 방식, POST 방식
GET 방식 : 주소창에 직접 원하는 데이터를 적거나 링크를 클릭해서 호출
원하는 웹의 주소를 호출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와 &,=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특정한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 사용한다.(ex. SNS)
웹에서 주소창 뒤에 ?로 시작하는 내용물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물어보는 용도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ex. 키1=값1&키2=값2)
POST 방식 : 입력 화면에서 필요한 내용을 작성한 후에 전송과 같은 버튼 등을 클릭해서 호출
주소와 데이터를 따로 보내는 방식으로
웹 화면을 통해서 실제 처리가 필요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ex.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처리)
주소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분리해서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브라우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없고
개발자 도구를 이용해야 확인이 가능하다.
GET | POST | |
주용도 | 조회 | 등록, 수정, 삭제와 같은 처리 |
구성 | URL 뒤의 ?와 같은 스트링 | URL 전달 후 HTTP 몸체로 쿼리 스트링 |
효과 |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음 | 단순 조회가 아니라 원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됨 |
한계 | - 브라우저에 따라 길이의 제한 - URL 뒤의 쿼리 스트링으로 모든 정보가 전달되는 단점 - 쿼리 스트링 길이에 대한 제한 |
- GET 방식에 비해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함 - 주소창만으로는 테스트가 어려움 |
JSP는 입력 화면을 구성하거나 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용도로만 사용하며
브라우저는 직접 JSP 경로를 호출하지 않고 Servlet 경로를 통해서 JSP를 보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서버에서는 브라우저로 응답을 보내는데 서버에서는 이를
정적인 데이터인지 동적인 데이터인지에 따라서 다르게 처리한다.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
정적 데이터
항상 동일하게 고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ex. 파일로 고정된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의 데이터)
동적 데이터
매번 필요할 때마다 다른 데이터를 동적으로 구성해서 전송하는 방식(ex. 메일함)
정적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서버를 웹 서버(Web Server)라고 하고
동적인 데이터를 만들어 보내는 경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라고 한다.
'국비 지원 > JSP와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Servlet] EL과 JSTL (0) | 2023.07.22 |
---|---|
[JSP/Servlet]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점 그리고 PRG 패턴 (0) | 2023.06.18 |
[JSP/Servlet] JSP와 Servlet은 무엇일까?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