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는 '로 감싸야한다.
ex) System.out.println('코');
* "코"를 한다고 해서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 한 글자도 문자열이 될 수 있다.
문자열은 "로 감싸야한다.
ex) System.out.println("코린이");
큰따옴표 표시는 \"
ex) System.out.println("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줄 바꾸기는 \n
ex) System.out.println("안녕하세요\n반갑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변수는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준다.
즉, 중복을 제거해서 가독성을 높여주고 유지보수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변수는 변하는 값을 의미한다면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정수는 기본적으로 int형 실수는 기본적으로 double형 임을 기억하자.
자동 형 변환
ex) double a = 2.0F;
자동 형 변환이 일어나는 규칙
byte -> short, char-> int -> long -> float -> double
명시적 형 변환
ex) float a = (float) 100.0;
1+2에서 사용한 +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이고 ++나 +1과 같은 + 연산자는 단항 연산자이다.
문자열(보여지는 값)을 비교할 때에는 ==(객체의 주소 비교)가 아닌 .equals()를 사용한다.
switch문은 switch의 조건에 따라 해당하는 모든 case들이 실행된다.
여기서 break가 있다면 해당하는 case 하나만 실행된다.
주어진 case가 없는 경우 default 문이 실행된다
switch를 사용할 수 있는 타입
-> byte, short, char, int, enum, String, Character, Byte, Short, Integer
break -> 반복 작업을 중단
ex)
for (int i = 0; i < 10; i++) {
if (i == 5)
break;
System.out.println("코린이 " + i);
}
//결과
코린이 0
코린이 1
코린이 2
코린이 3
코린이 4
continue -> 실행을 즉시 중단하면서 반복은 지속
for (int i = 0; i < 10; i++) {
if (i == 5)
continue;
System.out.println("코린이 " + i);
}
//결과
코린이 0
코린이 1
코린이 2
코린이 3
코린이 4
코린이 6
코린이 7
코린이 8
코린이 9
향상된 for문
String[] name = { "유재석", "강호동", "이승기", "이수근" , "이광수" };
for (String e : name) {
System.out.println(e + "이 상담을 받았습니다");
}
name의 값들을 하나씩 꺼내서 e라는 변수에 저장한다.
.length는 배열에 실제 담긴 데이터의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배열을 처음 생성할 때 지정한 배열의 크기를 의미한다는 것을 생각하자.
string에서
String str1 = "hi"와 String str2 = "hi"는 같은 객체를 참조한다.
String str3 = new String("hi")와 String str2 = new String("hi")는 다른 객체를 참조한다.
<기본 타입>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 문자형 : char
- 논리형 : boolean
<참조 타입>
배열, 클래스, 열거, 인터페이스
객체는 붕어빵 / 클래스는 붕어빵을 만드는 틀 / 필드는 속성 -> 타입 필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