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성장하는 개발자
IDE 에러 해결하기/SpringBoot

[SpringBoot] Whitelabel Error Page 에러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고 크롬창에서 주소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에러 페이지가 떴다. index.jsp는 크롬창에서 제대로 돌아가나 index 이름이 아닌 다른 이름을 가진 jsp 파일들이 크롬창에서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때 아래와 같이 해결해보도록 하자. 해결방법 일단 사전에 프로젝트의 폴더 경로에 맞는 어노테이션을 주었는지 또는 크롬창에서 알맞게 주소를 주었는지 등 여러가지를 확인해야 한다. 전부 알맞게 주었는데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프로젝트 생성할 때 잘못 생성한 것이 아닌지 확인해보자. 위의 사진과 같이 Group과 Package는 같은 경로를 줘야한다. 만약 다른 경로를 주었다면 White Error Page가 뜰 수도 있으니 확인해보도록 하자.

강의 정리하기/JSP와 Servlet

Service 함수의 GET 메소드와 POST 메소드

이때까지 계속 Service 함수를 사용했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GET 요청 및 POST 요청을 했을 때 Service 함수가 실행된다. GET 요청과 POST 요청을 하는 방법은 2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Service 함수만 오버라이드해서 GET과 POST를 사용하는 것과 두 번째는 Service 함수를 오버라이드하지 않고 원하는 것(GET or POST)만 오버라이드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아래의 코드를 보도록하자. package com.jsp.calc;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

IDE 에러 해결하기/STS

[STS] The import javax.servlet cannot be resolved. 오류

아래는 Servlet을 사용하기 위해서 import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해결방법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프로젝트에 서버를 추가해주면 된다. 프로젝트에 서버를 추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프로젝트를 우클릭하여 Build Path 찾아서 들어간다. 2) Classpath를 선택하고 Add Library를 한다. 3) 자신의 환경에 맞는 Server Runtime을 추가하여 적용해준다. 이러면 The import javax.servlet cannot be resolved. 오류는 사라지며 프로젝트에서의 엑스 표시도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DE 에러 해결하기/DataBase

[ORACLE]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설치 중 오류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이 Ids_OracleConfigDlg_DatabaseConfigFailedMsg An error occurred while configuring Oracle XE database.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이는 이전에 설치했던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파일 등이 완전히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어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Oracle을 완전히 삭제해야 한다. 해결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regedit)를 켠다. 2) 아래의 경로의 폴더 밑에 있는 Oracle로 시작하는 모든 폴더를 삭제한다. 1. HKEY_LOCAL_MACHINE\SOFTWARE\Oracle로 시작하는 모든 폴더 삭제 2. HKEY_LOCAL_MACHINE\S..

IDE 에러 해결하기/STS

[STS] server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 failed to start. 오류

아래의 사진과 같이 server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 failed to start.라는 말은 톰캣 시작에 실패했다는 뜻이다. 해결방법 아래의 사진과 같이 프로젝트 폴더를 보면 패키지만 다른 동일한 이름의 Controller 클래스가 2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org.werock.jdbcex.controller 패키지의 TodoListController와 org.zerock.w2.controller 패키지의 TodoListController 클래스를 코드를 보도록 하자. @WebServle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때 name과 urlPatterns(value)의 값이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ebServlet 어노테이션은..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점 그리고 PRG 패턴

Forward와 Redirect Redirect와 forward는 JSP 환경에서 현재 작업 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페이지 전환 기능을 말한다. Forward와 Redirect의 차이점 클라이언트 → 고객 URL → URL 서버 → 상담원 forward() : 요청 정보가 그대로 유지 예시 2) 고객이 고객센터로 상담원에게 123번으로 전화를 건다. 상담원은 해당 문의사항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옆의 다른 상담원에게 해당 문의사항에 대한 답을 얻는다. 상담원은 고객의 문의사항을 처리해준다. 웹 컨테이너 차원에서의 페이지 이동이기 때문에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는지 알 수 없다. (고객은 상담원이 누구한테 물어봤는지 알 수 없다.) 웹 브라우저에서는 최초 호출한 URL만 표..

국비 지원/국비 일기

국비 지원 한 달 넘은 후기

국비 한달차가 되면 바로 후기를 바로 쓰려고 했었는데 조금씩 미루다 보니 벌써 한 달이 지났다.. 이때까지 다니면서 제일 힘든 점은 아침에 일어나는 것! 아침잠이 많은 나한테는 이 점이 제일 힘들었던 것 같다. 거기다가 원래 서울에 살지 않아서 지하철 탈 일이 없었는데 출퇴근 지하철은 정말 지옥이었다. 벌써 이렇게 더운데 한여름에 지하철 타는게 걱정이 된다😭... 본격적으로 국비 학원 후기를 써보도록 하겠다. 국비 지원 학원을 알아볼 때 무엇보다도 자기 의지가 제일 중요하지만 강사님은 내가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운이라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나는 강남 쪽이 국비 지원 학원이 많으니까 좀 더 나에게 도움이 되는 강사님을 만날 확률이 높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지금 내가 살고있는 곳과 거리가 부담스러..

국비 지원/JSP와 Servlet

[JSP/Servlet] Request와 Response, GET 방식과 POST 방식

Request와 Response Request(요청) :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Response(응답) :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서 브라우저로 보내게되는 것을 말한다. 웹 브라우저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GET, POST 2가지 방식을 이용한다. GET 방식, POST 방식 GET 방식 : 주소창에 직접 원하는 데이터를 적거나 링크를 클릭해서 호출 원하는 웹의 주소를 호출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와 &,=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특정한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 사용한다.(ex. SNS) 웹에서 주소창 뒤에 ?로 시작하는 내용물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이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물어보..